-
Chip planning 개요전공/VLSI 설계 2021. 4. 7. 02:12
하나의 Chip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계층 Module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Module들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Chip의 성능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Chip을 단순하게 기능만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Module의 배치나 I/O Pin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가장 특성이 좋은 경우를 찾아야 한다.
이를 Chip planning이라고 하며, 크게 3 단계로 나뉜다.
Chip planning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 1. Floorplanning
: Chip의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다. 사용할 구간과 사용하지 않을 구간을 나누기도 하고, 수직/수평으로 밑그림을 나누어서 추후 Cell을 배치할 공간을 만든다.
+ 사용할 구간과 사용하지 않을 구간을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
Chip 내부에는 여러 모듈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 모듈을 전부 한 팀에서 작업하지는 않으니, 각 팀에서 맡는 모듈들을 서로 제작하여 추후에 통합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팀끼리 Chip 내부의 공간 배치를 사전에 협의하지 않았다면, 배치 충돌이 일어날수도 있다. 따라서, Chip 내부에서 각 팀이 Module을 설계할 수 있는 공간과 다른 팀이 설계해야 할 공간을 구분하여 밑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정리하면, 각 팀마다 설계할 수 있는 공간이 정해져 있다는 의미)
2. Pin assignment
: Chip 내부의 Module들도 서로 Communication을 하는데, 이때 어느 위치에 Pin을 구현해야 할지도 중요하다.
(서로의 최단거리가 되는 지점이 가장 나을 것이다.)
(+ I/O placement : Module이 아니라 Chip I/O Pad의 위치를 정해주는 것)
3. Power planning
: 이름과 같이 각 모듈에 균등하게 Power network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공 > VLSI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orplan 자료 구조 표현 (0) 2021.04.07 Floorplan design에 대해서 (0) 2021.04.07 Multi cycle path와 False path에 대해서 (0) 2021.04.01 Logic Circuit의 Timing Violation 정리 (0) 2021.03.31 Clock Skew와 Clock Latency의 차이점 (0) 2021.03.31